본문 바로가기

탄소중립(Net Zero)130

패스트패션(Fast Fashion) 2023년 패션산업은 1.7조 달러 (2,200조 원) 규모로 추정된다. 3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의류 관련 일을 하고 있으며 2000년부터 2014 년까지 의류 생산량은 두 배가 증가하였고, 1인당 의류 구매 건수도 약 60% 증가했다고 한다. 수치는 몰라도 옷이 많이 들었다는 것을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것이 이제 방구석의 옷장 하나로 보유하고 있는 의류 보관이 불가하여 인기 있는 예능프로그램인 MBC의 '구해줘! 홈즈'에선 드레스룸 구비가 선택받는 데 있어 거의 필수조건이다. 이러한 소비의 증가에 따른 생산량 및 규모의 변화의 상당 부분은 패스트패션의 부상 때문이다. 패스트패션이란? 기호에 맞춰 주문을 하면 짧은 시간 안에 제공되어 바로 먹을 수 있는 패스트푸드(Fast food)처럼, 빠르게 변화하.. 2024. 1. 23.
메탄슬립 (Methane Slip) 최근의 조선 관련 뉴스를 보다 보면 에너지전환기 친환경선박연료로 천연가스를 채택하고 이에 따라 LNG 벙커링 선박도 건조되고 있다는 것을 많이 보게 된다. 또한 우리나라 조선업체가 이에 최대 수혜국이라는 얘기에 괜스레 어깨에 힘도 들어가게 되었고, 나의 초창기 글에도 찬양일색의 상태 구분 없는 천연가스(메탄, LNG, Methane)가 소재로 여러 번 등장한다. 이쯤 되면 벌써 여러분들은 어라 천연가스에 문제가 있는 모양인데 하실 텐데 맞다. 문제가 분명 있고 그보다 더한 잇점도 있고 문제에 대한 해결책도 존재하고 오늘 여기 소개하고자 한다. (엔진 제조사인 MAN과 Wartsila의 설명 기반 추가 정보 첨삭) 그럼 먼저 해양산업에서 기후목표 달성을 위해 추진연료로 천연가스를 선택하게 된 연유부터 살펴.. 2024. 1. 18.
최장한파 (Longest Cold Wave) 작년 12월 유럽 남부의 기온이 30℃를 넘나들며 스키를 타지 못하는 관광객들의 원성이 자자하다는 뉴스를 들으며 그래 지구 온난화의 영향이 있음을 눈으로 이해한다. 또 기후 온난화로 왜 폭설이 잦아지는지에 대해 지난 글에서 살펴보았다. 기후변화에 눈이 미치는 영향 올초 유럽의 겨울 기온이 20℃를 넘나들며 '겨울실종'이란 기사와 더불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기인한 난방용 천연가스가 부족할 것이라 전망하던 이들을 겸연쩍게 만들었었고 가스가격 shygongdole.tistory.com 그런데 최근의 동북아와 북미에서 한파가 증가한 것도 지구 온난화의 영향이라고 하니 좀 살펴보고자 한다. 제트기류의 약화와 북극 냉기의 남하 북극에서 내려오는 상단의 차가운 기온을 막아주는 강력한 방어막인 제트기류가 북극의 .. 2024. 1. 11.
캘리포니아 와인 역대급 빈티지 탄생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와인 생산지 캘리포니아에서 작년 빈티지가 아름다운 풍미, 생생한 산도와 균형미를 갖춘 역대급 와인이 될 것으로 전망되는 보고서를 작년 말 발행되고 ABS 뉴스, CNN 등 앞다퉈 인용 보도하게 된다. 이렇게 우수한 와인이 생산되게 된 배경으로 기후의 영향을 들고 있는데, 2023년은 ①산불 피해가 없어 온전히 햇빛을 받을 수 있었으며, ②겨울에 풍부한 비가 내려 휴식기 포도나무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였고, ③봄과 여름에 캘리포니아 전역에서 시원한 기온이 지속되어 포도가 천천히 익어가며 풍미와 아로마를 풍부하게 만들었고, ④ 좀 더 오랜 발육기간을 거쳐 평균보다 2주에서 한 달가량 늦게 수확이 시작되게 되며 결과로 산도와 알코올 도수의 밸런스가 좋아졌다고 한다. 반면 주요 와인생산지.. 2024. 1.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