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제로4 ASLM 2040년까지 제품 사용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Scope 3) 어제오늘 우리 언론들은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에 큰 문제가 발생한냥 기사를 내고 있다. 이번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을 가장 적극적으로 옹호하고 홍보하던 매체인 조선일보가 앞장서 마치 새로운 소식인 양 호들갑을 떨고 있다. 비전문가인 나도 이미 이러한 정책으로는 '삼성전자가 미국으로 갈 수 있다'는 글과 삼성과 TSMC의 재생에너지 확보순위에 대한 글을 내놓으며 걱정을 정리했었는데 말이다. 언론들의 기사 내용 중 국내의 걱정스러운 상황은 아래 글에서 이미 언급한 내용 중 부분에 해당할 수준에 미치지 못하니 관심 있는 분들은 방문하여 내용을 한번 복기하셔도 좋을 것 같다. 탄소중립 재밌게 풀어보기 (반도체 공장) 21년 미국 텍사스의 이상한파로 전력공급에 문제가 생기며 현지 오스틴에 있는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2024. 2. 27.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내연기관차의 탄소배출 비교 전기차가 실제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는가냐에 대한 의문은 많은 이에 의해 제기되고 있고 실제 전문가들의 견해도 갈리는 게 사실이다. 전기차의 제조 과정에 있어 더 많은 탄소 배출이 있다는 것이 주지의 사실이고 아직은 전기 생산에 있어 탄소 배출이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일 것이기에 이런 의문을 갖고 있어야 하는 것은 나나 여러분처럼 약간의 지식을 갖고 있는 이들로서는 지극히 당연한 것이다. 명확한 판단은 좀 더 많은 지식을 갖고 있는 학자들이나 이를 심도 있게 살펴봐야 하는 정책 당국이 답을 주어야 하는 것이지만 명쾌한 답변이 없는 상태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정보 위주로 전기차가 어떻게 탄소배출 저감에 기여하는지에 대해 정리를 해 보고자 한다. 자동차 제조과정에서 탄소 배출 케임브리지 .. 2023. 12. 26. 스마트 넷제로 시티, 네옴, 2 어제 개략적으로 설명한 네옴시티에 대한 글에서 부족했던 어떻게 네옴이 친환경 넷제로를 구현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해 보고자 한다. 네옴은 건설되고 있는 네옴시티가 미래형 친환경 도시이며 탄소 배출이 없는 도시로서 "인류가 지구 환경 문제를 저버지리 않고 발전해 나가는 미래의 청사진"이라 얘기한다. 더불어 현재 80%에 달하는 식품 수입을 수직적 스마트팜 조성을 통해 자급자족을 이뤄내겠다는 사우디아라비아로선 혁명적인 아이디어를 담고 있다. 여러 비평가들은 이를 두고 현실성이 부족한 '그린와싱'이라 비난도 하지만 석유 중심 경제구조에서 벗어나려는 사우디의 피할 수 없는 미래에 대한 야심 찬 도전으로 봐야 하지 않을까 싶다. 그럼 이제 네옴이 왜 친환경 적인지, 어떻게 탄소중립 넷제로 도시로 만들어지는지 에너지.. 2023. 12. 13. 스마트 넷제로 시티, 네옴, 1 사실 좀 더 일찍 정리해 네옴시티에 대해 글을 써 보려 하였다. 지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하마스 전쟁’ 편에서 네옴시티에 대해 한번 정리를 해 봐야겠다 얘기한 지 벌써 두 달 가까이 지났다. ‘네옴시티’는 지속적인 방송, 뉴스 등으로 정부의 홍보 등에 노출되어 이미 많은 분들이 사우디아라비아, 빈 살만 왕세자를 자연스레 떠 올리며 뭔가 대단한 것인지 정도는 알고 있을 것이다. 최근 부산 엑스포를 유치하는 과정에서 우리의 BTS와 한류를 앞세워 좋은 곳 아름다운 곳 부산이라는 홍보전략으로 재생에너지와 순환경제 넷제로 미래 스마트 시티 네옴을 내세우며 유치전에 나선 사우디아라비아에 이미 제시하는 비전에 극복할 수 없는 차를 느끼며 밀렸기에 올 초까지 기회의 도시이기만 했던 이곳에 다른 감정을 하나 얹게 .. 2023. 12. 1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