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50 에너지 소모량 통계 1 에너지 소모량 통계를 보여주는 Site를 찾아 자료를 옮겨 본다. 2022년 기준으로 EIA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2023]), Eenergy Institute(2023)의 원 데이터를 기준으로 편집 분석하여 자료를 올려주는 곳으로 Our World in Data라는 곳이다. OECD 주요 국가 및 지역별 특성을 보여주는 국가를 취사 선택하여 아래에 보여지는 순서가 정확하게 순위와 일치하진 않음을 유의하며 주시며 봐주셨으면 좋겠다. (특히 1인당 소비량) 국가별 에너지 소비량 이미 인지하고 있다시피 중국과 미국이 수위를 달리고 있고 있다. 두 나라가 전세계전 세계 1차 에너지의 42.3%를 차지하고 있고 인도와 일본을 더하면 전 세계 에너지의 51.3%.. 2024. 3. 26. 한국 겨울이 사라진다. 15년 뒤 한파 없는 '따뜻한 겨울' 온다 - 동아사이언스, 2024.03.20 우리나라 광주과학기술원(GIST) 환경공학부 연구진이 주도한 한.미 국제 공동연구팀의 네이처 자매지인 '기후와 대기과학' 온라인판에 실린 연구결과를 소개하는 기사다. 동아사이언스는, 연구진이 기후모델로 분석한 결과 2030년대까지는 따뜻한 북극-추운 대륙 현상이 점차 증가한다. 북극발 한파가 향후 10년 동안은 여전히 혹은 더 자주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다. 반변 2040년대부터는 해당 현상이 일어나는 빈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라 정리를 하였다. 최근 한파가 줄고 있다고 알고 있어 해당 기사의 원문을 찾아봤다. 한국(동아시아) 겨울이 사라진다. 아래는 연구결과가 실린 '기후와 대기과학지'.. 2024. 3. 21. 국가별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 오늘 갑자기 궁금해서 찾아본 자료를 옮겨 보고자 한다. 개별 Data로는 여기저기서 찾아볼 수 있으나 원 Data 기준으로 정리를 해 보려니 원체 힘든데 일단 추가적으로 찾아 정리되는 것은 정리되는 데로 계속 update 하기로 하고... 국가별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 순위 국가별 발전설비 용량특히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설비용량 비율과 발전량 비율의 차이가 많이 나는데 이는 재생에너지가 가진 간헐성과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지형, 기후 및 계절적 특성 때문이다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중에서만 비교를 하더라도, 예를 들면 태양광은 비중은 73%에 달하지만 실제 발전량은 54% 수준으로 외국의 경우 거리낄 데 없는 너른 평지에 시설이 설치되고 대규모로 운용되는 것과 비교하면 소규모로 산지 비탈 등에 설치되는 우리나.. 2024. 3. 19. 김 없는 김밥 "Green Harvest in South Korean Water (한국 해역의 녹색 수확)" - NASA, 2021.2.19 나사에서 대기 중의 탄소를 흡수하고 재배과정이 친환경적이기에 주목하며 기후변화에 대한 치료법으로 소개했던 완도의 김양식, '검은 종이'라 조롱받던 김... 미국 아이들이 즐기는 최고 간식되다. 미국 김스낵 시장 2026년까지 연평균 11.7% 성장 전망 미국에서 품절된 'K- 김밥' 최근 우리가 접했던 김에 대한 뉴스이고 우리 국민에게 '김부심'을 심어준 소식들이다. 김 수출 수산식품 최초 1조 원 달성 김의 세계적 인기를 반영하듯 2019년부터 우리나라 수산식품 수출액 1위를 지켜오던 김이 지난해 수출 1조 원을 달성한다. 지냔 10년간 연평균 8%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수.. 2024. 3. 18. 이전 1 ··· 4 5 6 7 8 9 10 ··· 3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