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탄소중립(Net Zero)/기후 변화

2024년은 2023년 뛰어넘어

by 수줍은 공돌이 2024. 1. 4.
728x90
반응형

이런 것도 청출어람이라고 해야 할까? 어제오늘 국내 뉴스들은 미국 워싱턴포스트지의 2일 자 기사를 옮겨 역대 가장 더웠던 작년보다 올해 더 더울 것이라는 관측보도를 내놓는다. 

ESG경제는 이보다 앞선 해새 첫날 '2023년, 12만5천년 만에 가장 더웠다... 올해는 '더 덥다''는 제목으로 USA 투데이지의 기사를 인용 보도한다. 

2023년 이전 가장 더웠던 해는 강력한 엘니뇨의 영향을 받았던 2016년이었으나 작년 엘니뇨가 다시 찾아오며 6월 이후 매달 역대 최고 온도 기록을 경신한다. 

 

※ 엘니뇨: 적도 부근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현상, 지구 온도를 높이고 폭풍우, 가뭄 등 기상 이변을 일으킨다

 

일시적 기후저지선 붕괴

Yale Environment 360(Yale School of the Environment에서 편찬)에 게제된 글에서는 올해 일시적인 기후 저지선 붕괴가 있을 것이라 말하고 있어 이를 각색하여 옮겨보면, 

 

기상학자들은 기후 변화와 엘니뇨로 인해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2024년은 2023년을 넘어 역대 가장 더운 해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세계기상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에 따르면 2023년 10월까지는 인간이 초래한 온난화와 동태평양에 따뜻한 물이 고이는 엘니뇨 발생의 영향으로 산업화 이전 기준보다 1.4℃ 더 따뜻했고 2016년의 역대 최고 온도 기록을 경신했다.  

하지만 영국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는 2023년의 기록을 단명케 하고 1.46℃의 기록을 세울 가능성이 높지만 최대 1.58℃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는 파리기후협정에서의 목표인 기후저지선 1.5℃를 넘어서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기상청의 기후학자 아담 스카이프는 "일시적으로 1.5℃를 초과하는 것이 파리협정 위반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이를 넘는 첫 해는 확실히 기후 역사에 이정표가 될 것이다."라 말한다.  

(관련 글 기후저지선 붕괴 (tistory.com) 참조)

 

기후저지선 붕괴

11월 30일 개막하여 12월 12일까지 진행될 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를 즈음하여 인류 생존 및 생태계 보전을 담보하기 위한 기후저지선(평균 온도상승을 1.5℃)을 지키기 어렵다는

shygongdole.tistory.com

엘니뇨의 영향, 벗꽃은 더 일찍 필까?

기후 학자들이 올해 다시 기록 경신을 예측하는 것은 역대 기온이 가장 높았던 2016년과 작년 모두 엘니뇨가 발생하였고, 일반적으로 엘니뇨는 1년 정도 지속하기에 패턴상 올 2월에 정점을 찍고 봄이 되어서야 점차 사라질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세계기상기구(WMO)는 올봄까지 극단적인 날씨와 변덕스러운 기상변화 현상이 더욱 심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더불어 많은 이들은 이러한 기상 변화로 멀리 가뭄에 물부족으로 죽은 아프리카 코끼리와 해빙에 살 곳을 잃어 죽어가는 남극 펭귄을 예를 들며 심각한 생태계의 위기를 걱정하고 있다. 

 

지리적 해택인지 우리의 체감 걱정 수준은 다행히(?) 이에 미치진 못하고 있다.

 

지난 봄 우리는 2~3월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높아지며, 102년 만에 가장 이른 벚꽃의 개화를 보았고(JTBC 보도 인용) 5월부터 이른 더위가 찾아와 서울의 낮 기온이 30℃를 넘어섰었다. 기후 학자들의 전망처럼 엘니뇨가 지속된다보면... 올해는 3월 중순부터 벚꽃 구경을 준비해야 할지, 옷장에서는 잠시 넣어 두었던 반팔티를 언제부터 꺼내 입어야 할지 작은 고민을 하며 오늘을 마무리 짓고자 한다. 

 

반응형

'탄소중립(Net Zero) > 기후 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장한파 (Longest Cold Wave)  (66) 2024.01.11
캘리포니아 와인 역대급 빈티지 탄생  (54) 2024.01.09
온돌이 청계천을 만들었다.  (69) 2024.01.03
지진과 기후변화  (57) 2024.01.02
핵 겨울  (35) 2024.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