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흑연인가? 희토류, 요소에 이어 중국이 수출 통제를 하겠다 하여 또다시 비상이 걸린 우리나라 대한민국이다. 관세청, 한국무역협회 자료에 따르면, 올 1~9월까지 천연흑연의 97.7%, 인조흑연 94.3%를 중국에서 수입했듯이 우리의 중국 흑연 의존도는 특히나 높다.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통제에 맞대응 차원이고 서로 계속 이런 것을 찾으려 할 텐데 우리는 이런 뉴스에 가슴만 쿵당쿵당 거린다.
이런 의미에서 살펴본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필수 불가결한 광물들, 소위 '탄소중립 6대 핵심 광물'.
탄소중립 6대 핵심 광물, 어찌 정의할까?
배터리, 신재생에너지, 수소와 연관하여 필수로 소요되지만 대체재를 찾기 어렵고 공급원이 제한되어 리스크가 존재하는 광물을 칭한다.
한국지질연구원에서 21년 탄소중립과 에너지전환 대비를 위하여 지정한 리튬, 니켈, 코발트, 흑연, 희토류, 백금족을 6대 핵심광물이라 하고 특정 국가가 독과점하는 구조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라는데 우리가 보유하고 있었으면 '재수' 였겠지만.
LX 인테네셔널의 블로그에서 가져온 그래프는 현황 및 문제점을 극명히 보여주고 있다.
특히, 코발트, 흑연, 희토류, 리튬, 백금은 상위 3개국의 시장점유율이 70%를 훨씬 상회하고, 제1생산국이 60%를 넘나드는 독과점 형태이니 더 말할게 뭐가 있겠어, 우리 같은 나라는 그냥 바짝 엎드려 공급이 끊기지 않도록 해야 하는 외교정책을 펴야겠지.
저 광물들은 배터리, 연료전지 제조에 필수적이고, 희토류는 추가로 전기모터, 발전기 제조에 들어갈 영구자석 만드는 데 사용되니 전기차, 풍력발전 같은 것의 주가가 희토류 수급에 출렁이는 이유를 알 수 있잖아.
그런데 위에선 고려치 않아 놓치고 있는 점이 하나 있어. 모두들 알고는 있고 간혹 뉴스하고 전략 정책을 마련하라 하는 그것 바로 북한의 매장량이지.
중국이 우릴 어렵게 하는 것들은 북한이 다 갖고 있단 거지. 매장량 기준 희토류 2~4위, 흑연 4위......
이건 이념의 문제가 아니고 생존의 문제일 텐데, MB 때도 추진했던 북한 자원 개발, 이제 나라의 존망을 걸구 챙겨봐야 하지 않을까?
아님, 2019년 일본의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소재들 수출통제를 국산화 및 대체제를 찾아 돌파 했듯이 내재화에 박차를 가하든지...
'탄소중립(Net Zero)'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소중립 재밌게 풀어보기 (친환경 연료) (86) | 2023.10.23 |
---|---|
탄소중립 재밌게 풀어보기 (칭다오 맥주, 탄소중립) (68) | 2023.10.23 |
탄소중립 재밌게 풀어보기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하마스 전쟁) (88) | 2023.10.22 |
탄소중립 재밌게 풀어보기 (손흥민, 애플) (55) | 2023.10.21 |
탄소 중립 (Carbon neutrality) (21) | 2023.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