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Net Zero)130 어떤 우유가 가장 환경 친화적일까? 구글 트렌드에서 지난 22일 지구의 날 스페셜로 보내온 메일에 연결된 사이트를 찾아보다 Sentientmedia.org에 흥미롭게 비교한 글이 있어 옮겨 본다. 사실 며칠 전 "여러분은 하루에 몇 잔이나 커피를 마시나요? (탄소발자국-커피)" 편에서 뜻하지 않게 여러 우유 품들의 탄소 발자국에 대해 정리를 해 보았는데 이번은 아몬드 우유를 주제로 정리한 글을 약간의 각색을 더해 옮겨 보고자 한다. 아몬드 우유는 최근 10여 년 간 점차 인기를 얻어가며 점점 더 많은 이들이 음식의 레시피를 통하거나 커피에 넣어 즐기고 있고 우리네 마트의 진열장에 가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막연히 식물성이니 좋겠거니 하고 즐기지만 실제 아몬드 우유가 어떤 면에서 환경 친화적인지 실제 유해한 .. 2024. 4. 24. 전기 추진 선박 테슬라와 같이 전기로 움직이는 선박이 있을까? 위키백과(한국), 나무위키에서 전기추진선을 살펴보면 공히 국내 1호 상업용 전기추진선으로 충주의 탄금호에서 운항 중인 '탄금호일렉트릭'을 설명하고 있다. 이 선박은 길이 25m 총톤수 55t의 승선인원 72명의 유람선으로 태양광 및 배터리 기반 전기 모터를 구동시켜 추력을 얻는 선박이다. 비교적 작은 선박이기에 전기를 사용 모터를 돌려 추력을 얻는 것은 가능할 것이라고 짐짓 생각들 하실 것이고, 그럼 대양에서 움직이는 길이 2~300m가 넘어가는 선박들의 경우는 어떠할까? 일반적으로 상선 중에 컨테이너선이 가장 빠른 운항 속도를 요구하며, 점점 대형화되어 요즘은 20,000 TEU가 넘는 초대형 컨테이너선들은 대략 60,000 kW (80,000마력) 이상의.. 2024. 4. 22. 기후 악당, 재 등장할 것인지? 앞서 지난달 초 '세계 기후위기 대응 변화 여부 가늠할 2024년 5대 선거' 편에서 미국 대선 향방에 따른 기후 대응 정책의 영향을 첫 번째로 간략하게 정리한 바 있다. 오늘은 사실상 현직 대통령과 전직 대통령이 맞붙을 것으로 확정된 것이나 다름없어 그 자체만으로도 흥미로운 2024년 미국 대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전임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는 어떤 근거로 다시 대선에 출마하는가?전직 대통령이 다시 대선후보가 되기 위해 경선에 참여하고 대선에 출마한다는 게 대통령 5년 단임제를 채택한 우리나라 국민으로선 어색한 트럼프의 재 출마 근거를 위키백과에서 찾아 아래와 같이 옮겨 본다. 결론적으로 정리해 보자면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내리 대통령 4선을 지낸 후 제시되고 1947년 의회에서 승인되고, 1.. 2024. 4. 18. 여러분은 하루에 몇 잔이나 커피를 드시나요? (탄소발자국 - 커피) 우리 세계인은 1인당 일일 평균 2.7잔의 커피를 소비하고, 전 세계적으로 하루에 약 20억 잔의 커피를 소비한다. 한국인의 커피 소비량도 무시하지 못할 수준인 하루 한잔 (년 353잔/현대경제연구원, 2018년 기준)을 마신다 한다. 이태리에서 카페 야외의 테이블에 앉아 작은 잔에 진한 에스프레소 더블샷을 마시며 한 껏 멋을 내 보든, 스타벅스에서 친구와 수다를 떨며 크리미 한 라떼 한잔을 마시든 점심 식사 후 식당에서 달콤한 디저트와 함께 꼭 한잔의 커피를 마셔야 하는 프랑스인들만큼은 아니더라도 커피는 이미 충분히 우리 생활에 다가와 있다. 커피의 탄소발자국 이렇게 우리 일상에 가까이 있고 자주하는 커피의 탄소 발자국이 꽤나 크다는 내용은 이제는 몇몇 들으신 분들도 있을 것이다. 요 단란의 수치는 분.. 2024. 4. 17. 이전 1 2 3 4 5 6 ··· 3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