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Net Zero)/기후 변화37 금사과, 금배의 고착 누가 뭐래도 우리나라 대표 과일은 사과와 배다. 가격이 올라도 재사상에도 빼놓을 수 없어 '금사과', '금배'라는 재목으로 매 명절마다 뉴스에도 끊임없이 올라온 지 오래다. 그런 사과, 배의 재배 면적이 향후 10년 동안 기후 변화와 농촌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으로 더욱 줄어들어 들 것이라는 보고서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 전망 2024'라는 제목으로 발표되었다. 사과의 경우 기후 변화에 따라 재배 상한선이 지속 상승하여 이제는 강원도와 전북 고지대로 확대되고 있지만 전통적인 재배지인 대구와 경북에서의 감소분을 감당하고 있지 못해서다. 늘어나는 강원도 사과도 금사과를 막지 못한다. 2023년 경북의 사과 재배 면적은 2만 151 헥타르(ha)로, 이전 30년 전인 1993년 3만 6,021 헥타르.. 2024. 3. 4. ASLM 2040년까지 제품 사용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Scope 3) 어제오늘 우리 언론들은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에 큰 문제가 발생한냥 기사를 내고 있다. 이번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을 가장 적극적으로 옹호하고 홍보하던 매체인 조선일보가 앞장서 마치 새로운 소식인 양 호들갑을 떨고 있다. 비전문가인 나도 이미 이러한 정책으로는 '삼성전자가 미국으로 갈 수 있다'는 글과 삼성과 TSMC의 재생에너지 확보순위에 대한 글을 내놓으며 걱정을 정리했었는데 말이다. 언론들의 기사 내용 중 국내의 걱정스러운 상황은 아래 글에서 이미 언급한 내용 중 부분에 해당할 수준에 미치지 못하니 관심 있는 분들은 방문하여 내용을 한번 복기하셔도 좋을 것 같다. 탄소중립 재밌게 풀어보기 (반도체 공장) 21년 미국 텍사스의 이상한파로 전력공급에 문제가 생기며 현지 오스틴에 있는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2024. 2. 27. 탄소해적 KBS 다큐인사이트 1월 11일 자 방송 지속 가능한 지구는 없다 1부 탄소 해적 인도의 수도 델리에서 15KM 떨어진 가지아바드 한 골목에서 물통을 들고 물을 기다리는 장면으로 시작되는 이 다큐는, 인도 전체 인구의 46%는 만성 물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현실에 한 달 월급 30만 원의 절반을 물 사는 데 사용할 수밖에 없는 형편을 얘기하고 있다. 지하수를 얻기위해 예전엔 60M를 파면 됐었는데 이젠 210M를 파내려 가야 하고 많은 사람이 수돗물을 깨끗한 물의 공급원으로 신뢰하지 않게 되며 인도의 생수 시장은 연평균 27% 성장하고 지난 10년간 전 세계 생수 시장은 매출 73% 증가하며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 된다 연간 세계 포장음료 소비량은 탄산음료가 2,225억 L, 우유 및 유제품 .. 2024. 2. 1. 2024 기후총선 집담회 지난 1월 22일 '기후정치바람'은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2024 기후총선 집담회'를 열어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만 7천 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기후정치바람'은 기후 위기에 대한 국민의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고 이를 통해 조사된 기후위기 어젠다가 22대 국회의원선거에 정치적 의제로 부각되기를 바라는 목적으로 '녹색전환연구소', '로컬에너지랩', '더가능연구소' 등이 참여한 시민 단체이다. 정치권의 지지율 여론조사를 할때도 보면 1,000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결과를 발표하는데 17,000 명의 대규로 인원을 대상으로 실시된 여론 조사라 볼 수 있겠다. 여하간 결과를 보면 이번 총선 입후보자들 께서는 기후대응 공약을 준비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등의 요구에 적극적 자세로.. 2024. 2. 1.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