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탄소중립(Net Zero)/기후 변화

탄소중립에 있어서 블록체인의 역할

by 수줍은 공돌이 2023. 12. 25.
728x90
반응형

탄소중립은 배출량과 축소 및 흡수량의 확대 활동을 통해 두 가지의 균형을 이루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활동의 결과로 발행되는 탄소크레딧의 거래가 이뤄지게 된다. 또한 배출량의 감시를 포함한 운용시스템도 신뢰도 높고 탄소 친화적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상대방과 어떤것을 진행할 수밖에 없는 비즈니스나 거래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투명성(Transparancy)이다. 
탄소 중립에 있어서 투명성은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는데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투명성이 필요한이유

신뢰성 증대: 탄소중립을 위한 활동의 데이터를 투명하게 공개하면, 그 활동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크레딧의 발행, 거래, 추적, 검증 등의 과정을 투명하게 기록하면, 탄소크레딧의 가치와 효과를 증명할 수 있다. 이는 탄소중립을 위한 활동의 질을 향상시키고, 부정거래를 방지하고, 탄소시장의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다.
참여 확대: 탄소중립을 위한 활동의 데이터를 투명하게 공유하면, 그 활동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중립을 위한 활동의 성과와 영향을 투명하게 보여주면, 탄소중립을 위한 목표와 책임을 공유하고, 탄소중립을 위한 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이는 탄소중립을 위한 활동의 규모를 확대하고, 참여를 촉진하고, 탄소중립을 실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다 보니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VCM(Volundary Carbon Market)에서 투명한 탄소 크레딧 거래를 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알다시피 비트코인을 통해서 유명해진 블록체인 기술은 분산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고 투명하게 저장하고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탄소중립을 위한 노력에도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탄소중립에 있어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 

탄소크레딧 거래: 블록체인 기술은 탄소크레딧의 발행, 거래, 추적, 검증 등에 관한 데이터를 분산된 네트워크에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VCM의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고, 투명성을 강화하고, 부정거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은 탄소크레딧의 표준화와 상호운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는 VCM의 규모를 확대하고, 토큰화를 통해 많은 사람의 참여를 촉진하고, 탄소중립을 실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에너지 분야: 블록체인 기술은 에너지의 생산, 소비, 거래, 분배 등에 관한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기록하고 공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재생에너지의 활용을 증진하고, 탄소배출권의 거래를 간소화하고, 탄소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마이크로그리드는 소규모의 지역 네트워크에서 재생에너지를 생산하고, 소비하고, 거래할 수 있게 해 준다. 이러한 독립적 소규모 전력망은 구축기간과 투자비용이 상대적으로 적어 조기에 경제성을 확보하고 시장을 형성할 수 있게 해 주며, 전력 손실을 줄이고, 에너지 자립성을 강화하고, 탄소발자국을 낮출 수 있다.
물류 분야: 블록체인 기술로 물류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검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류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낭비를 줄이고,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공급망 관리는 제품의 원산지, 이동 경로, 품질, 온도, 습도 등의 정보를 기록하고 공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앞서 살펴본 물류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효과적으로 관측하고, 제어하게 되어 궁극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이외에도 환경분야 등 데이터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요구하는 곳이면 어디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신뢰도 높은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결책을 제시하고, 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 

Bing Image Creator 가 그린 블록체인기술 활용 탄소크레딧 거래 이미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상기와 같은 분야에서 이미 활동을 하고 있는 기업들이 있는데 예를 들면, CARBONX라는 핀테크기업은 탄소크레딧, 배출권 거래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CARBONXHUB라는 거래원장 제공 서비스를 하고 있고, Power Ledger는 재생에너지 생산과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등 이미 여러 기업들이 시장에 등장해 있고 국내에서도 몇몇 기업들이 관련시장에 진출을 준비 중에 있다. 

 

이상으로 블록체인 기술이 탄소중립에 있어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분야별로 정리해 보았다. 블록체인 기술은 탄소중립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로서, 다양한 장점과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블록체인 기술 자체가 원천 및 거래 데이터를 유지하는 과정에 많은 양의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어 역으로 탄소배출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과 활용에 있어서는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에너지 효율성 문제를 해결하여야 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