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탄소중립(Net Zero)/에너지 전환

에너지 전환이 직면한 도전

by 수줍은 공돌이 2024. 2. 28.
728x90
반응형

 

2월 13일 자로 발간된 Offshore 紙 1/2월호에서 최근 몇몇 전통적인 에너지 기업들이 이전 수립한 넷제로 약속을 완화하고 있다는 기사를 올렸기에 이를 기존 접하며 알고 있던 정보를 간간히 섞어가며 이해하는 데로 옮겨보고자 한다.  

최근 몇 년 동안 에너지 메이저(이전 오일 메이저라 불리던 기업들이 2010년대 말부터 스스로를 에너지 기업으로 칭하고 있다)들은 그들의 사업 영역에 탈탄소 기술들과 재생자원 들을 포함토록 다각화하는 전략적 계획을 수립해 왔다.  

하지만 최근 몇몇 기업들이 에너지 전환과정에서 직면한 문제들로 인해 그들의 이전 탄소중립 약속을 완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에너지기업들의 탄소중립 목표 완화

2010년대 들어 몇몇 기업들은 에너지 전환에 대비하며 오일에서 가스로 자산 재구성을(Asset restructuring, 대표적인 기업이 쉘[Shell]과 토탈[Total] 임)하는 등 에너지 전환에 동참하는 모습을 모이고 있던 와중 몇 기업들이 에너지 안보 등을 이유로 기존의 화석연료 기반의 자산 사용 연한을 늘리려는지 기존 계획을 수정하고 있다. 

  • 비피(BP)는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35% ~ 40% 감축하겠다는 기존 목표를 20% ~ 30%로 수정.
  • 쉘(Shell)은 운송과 산업 부분의 저탄소 사업 영역에 대한 공급 강화를 위해 저탄소 솔루션 사업에서 감원을 발표, 더불어 CEO 인 와엘 사완은 "오늘날 매우 중요해진 에너지 안보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으로 그 근간이 되는 오일 및 가스 생산을 지속하겠다" 밝힘. 
  • 엑손모빌(ExxonMobil)은 2050년까지 넷제로 달성은 매우 요원할 것이라 말함.
  • 사우디아람코(Soudi Aramco)의 CEO는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의 2050년 넷제로 로드맵에 보여진 수요 시나리오를 맞추기 위해 석유와 가스에 대한 투자 확대를 제안.

도전에 직면한 에너지 전환

2023년 11월 수행된 에너지 전환 전망에 대한 관련 업계와 투자자들 대상 설문조사 결과로 업계 리더들의 에너지 전환 전략에 대한 약속을 유지하거나 늘리고 있음에도 불구, 동시에 이러한 약속은 경제 현실에 대한 냉철한 이해와 글로벌 분쟁에 대한 증가하는 우려를 동반하고 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재생 에너지 분야 활동하는 기업들은 넷제로에 계속 전념하고 있으나 한결같이 돌파해야 할 당장에 직면한 장애물들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 자본비용 상승과 지난 수십 년간 볼 수 없었던 수준의 급격한 인플레이션
  • 그리드 상호 연결 문제로 인한 풍력 및 태양광 에너지 배치에 병목 발생 위험
  • 개발 인허가
  • 다년간의 개발 지연에 따른 변압기 등 핵심 그리드 장비 납품 차질
  • 필수 광물인 구리, 니켈, 리튬 및 희토류 등의 공급 부족 및 환경 파괴적인 채굴에 대한 대중의 반대
  •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등으로 중요해진 에너지 안보 문제 빙자한 화석연료에 대한 회귀
  • 글로벌 에너지 수요 증가 

우선은 에너지 효율 개선

설문조사는 더불어 그들의 사업영역을 넘어 오늘날 가장 유의미한 에너지 전환 투자 분야의 우선순위에 대해서도 조사를 하였고 응답자들은 에너지 효율 개선을 가장 쉽고 우선을 두어야 한다고 보고 있었다. 

  • 에너지 효율 개선
  • 탄소 포집 기술
  • 유틸리티 규모 에너지 저장 및 EV, 수소
  • 바이오 연료 

조사에서 흥미로운 점은 응답자의 2/3가 기존 화석 연료의 하류 부분(Downstream)에 관여하고 있는 경영진은 일반적으로 바이오 연료에 대해 좀 더 낙관적이었으나, 경영진과 투자자 모두 탄소 포집 인프라와 기술에 대해 큰 관심을 쏟고 있으며 이들 중 70%는 2040년까지 상업적 규모의 탄소 포집, 운송과 격리가 현실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조사 대상인 비즈니스 리더들은 에너지 전환에 대한 노력을 계속 증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지만 이러한 그들의 의지와 더불어 에너지 전환 과정에 가득 찬 위함을 타계하기 위해 예상보다 더 큰 수준의 자본 투자가 필요하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