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 살이/상식+

국내 생수 시장에 대한 소고

by 수줍은 공돌이 2024. 2. 19.
728x90
반응형

지난 2월 1일 KBS 다큐인사이트 1월 11일 자 방송 '지속 가능한 지구는 없다' 1부 '탄소 해적' 편을 소개하는 글에서 아래와 같이 생수 시장을 설명하며 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증가하는 기업들의 이익 창출 이면에 이들에게 물을 빼앗긴 주민들이 겪는 어려움과 이러한 기업들이 한결같이 주장하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허구에 대해 옮겨봤었다. 

지난 10년간 전 세계 생수 시장은 매출 73% 증가하며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  
연간 세계 포장음료 소비량은 탄산음료가 2,225억 L, 우유 및 유제품 2,453억 L, 주류 2,606억 L로 각각 유사한 수준인데 반해 생수는 2배 수준인 4,552억 L 약 400조 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
1분마다 100만 병, 1년에 약 6,000억 병 팔리는 생수

 

오늘은 국내 생수 시장에 대한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국내 생수 시장 

자료를 찾으려 기사를 검색해 보니 매년 생수 시장에 대한 기사들이 올라와 있다. 그중 가장 최근으로 보이는 자료를 기준으로 보면 지난 2010년 약 3900억 원이었던 국내 생수 시장은 2023년 약 2조 3000억 원으로 8배 정도 규모로 성장하였다.

국가통계포털을 통해 살펴본 2021년 먹는 물에서 생수의 점유율은 27.3%로 수돗물 71.8%의 38% 수준으로 이러한 먹는 물 선택의 이유 중 절반 정도가 믿을 수 있어서 이니, 아직은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의 수돗물이 국민에게 믿음을 주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여기서 살펴볼 수 있는 유의한 점은 젊은 세대일수록 생수 이용률이 높고, 20대 이하에서는 72%에 달하고 있다. 이전 세대와의 이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재미있게도 이전 세대 대배 수돗물 이용률이 감소하는 만큼씩 생수 이용률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고, 이를 통해 우리 사회의 음용수는 전반적으로 수돗물에서 생수로 변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물을 먹을 때 주로 이용하는 방법, 2021 (출처, 국가통계포털)

국내 생수 시장 브랜드별 점유율 

국내 생수 시장 브랜드별 점유율은 조금씩 변화가 있으나 순위는 최근 몇 년간 동일하며 고착화되고 있다. 2022년 말 기준유로모니터에서 조사한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 자료를 보면 제주 삼다수가 35.7%라는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고, 이어 롯데의 아이시스, 농심의 백산수가 각각 11.7%, 6.8%로 뒤따르고 있다. 

같은 해 3월 포켓서베이(PocketSurvey)에서 조사한 선호도는 대형마트의 PB 제품을 포함하며, 앞선 조사와는 1위를 제외하곤 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브랜드 파워가 가장 강한 제주 삼다수의  시장 지배력은 압도적으로 높고, 이마트/노브랜드의 PB 제품 선호도가 16%에 이르고 있다.

이는 생수 선택 기준에서 이전 수위를 차지하던 물맛과 브랜드의 비중이 조금씩 낮아지고 가격이 압도적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소비자 선호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오늘은 이러한 소비자 선호 중 물맛에 대해서 좀 얘기해 보려 한다. 

 

물 맛이 다르다?

제주특별자치도공사에서 생산하여 4년마다 국내 유통 및 판매 위탁업체를 선정하는 삼다수와, 2012년 삼다수의 유통, 위탁판매 독점권을 내주고 중국에서 백두산 용천수를 수입하는 백산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생수 브랜드는 같은 수원지에서 물을 퍼올려서 포장지 라벨만 다르게 붙여 판매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앞선 그래프에서 보듯 37%에 달하는 사람들이 물 맛으로 생수를 선택한다고 하고 있어 그들이 모두 삼다수와 백산수를 선택하고 있다면 딱히 뭐라 할 말은 없으나, 나머지 취수원을 별도로 두고 브랜드 장사를 하고 있는 업체들은 맛으로 구분하기 어려울 듯하다. 

이를 좀 더 확인해 보고자 환경부 공개 정보인 먹는 샘물 제조업체 List (취수원별 생수 브랜드, 2023.11.22일 자)를 롯데 ICIS 브랜드를 기준으로 살펴보게 되면 총 7개 업체가 제품을 생산 공급하고 있다.

시·도 업체명 제조공장 소재지 제품명
경기 ㈜씨엠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회곡안골길 146 크리스탈, 스마일365+수, 모닝캄, NEW크리스탈, 물은NU, Icis(아이시스), 탐나수, 탐라수, 일화 광천수, 참맑은샘물, GANGBLY LIFE 수블리, JMsolution Life 청광샘물,  탐사수, 탐사베이직수, 퓨어랜드 PURE 秀, 퓨어랜드 PURE SOO, kuikuk 꿀꺽수, 마트킹 생수킹水, 보고잇수(bogoitsu)
경기 씨에이치음료㈜
양주공장
경기도 양주시 남면 삼육사로 197-53 Icis(아이시스), Complimentary Natural Water, SAVE WATER ECO, 초이스엘샘물
경기 ㈜백학음료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장백로 589 아이시스(ICIS), 바른샘물, Homeplus Signature 맑은샘물, 미네랄워터(MINERAL WATER), 미네랄워터 ECO, 에코워터(ECO WATER), maxx 미네랄워터 ECO, HEYROO 미네랄워터, 미네랄워터, ICIS(아이시스), ICIS(아이시스) 평화공원산림수, 롯데DMZ, Complimentary Natural Mineral Water, 내추럴미네랄워터(NATURAL MINERAL WATER), 아이시스 ECO, 이른아침 맑은샘물, 삼성생명 Natural Mineral Water, everyday eco Mineral Water, PARADISE, WALKERHILL HOTELS & RESORTS, VISTA WALKERHILL SEOUL, 유어스 DMZ맑은샘물, 초이스엘샘물, 롯데DMZ天然水, 天然岩盤水, 세이브워터(SAVE WATER), 깊은산속 옹달샘물, everyday eco Mineral Water, 내츄럴 미네랄 워터 ECO
경남 산청음료㈜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남명로 59-61 HEYROO미네랄워터, 얼쑤얼水, 미네랄워터ECO, Homeplus Signature 맑은샘물, 바른샘물, 하루이리터, ICIS(아이시스) 8.0, ICIS(아이시스), 내몸애70%, PARADISE
경북 ㈜청도샘물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덕촌1길 38-7 푸르미네, Icis(아이시스) 8.0, Icis(아이시스), 풀무원샘물 by Nature, 풀무원샘물, 깊은산맑은물
전북 ㈜로터스 전라북도 순창군 쌍치면 둔전1길 35 순창샘물, 올스탠다드샘물, 행복지수, 로터스워터, ICIS(아이시스) 8.0, ICIS(아이시스), ICIS(아이시스) 금수강산순창수, 탐사수, 유어스 맑은샘물, 올스탠다드샘물, 보고잇수(bogoitsu), 동아오츠카 마신다, 더블유샘물, 북청물장수, 상하샘물, 순수본, 청정수
충북 씨에이치음료㈜
청원공장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성대2길 59 아이시스8.0, 유어스 맑은샘물, 홈플러스 맑은샘물

※ 전체 취수원별 자료는 맨 아래 '먹는 샘물 제조업체, 수입판매업체, 유통전문판매업체 현황('23.11.22) 참조(출처, 환경부)

물값은 브랜드 값?

한 취수원에서 생산된 생수는 브랜드를 달리해도 딱히 품질이니, 물맛이니가 달라질 이유는 없을 것이다. 아이시스를 생산하는 공장 중 하나인 (주)로터스를 기준으로 오늘자로 브랜드별 판매가격을 살펴보았다. (최저가)

단위 가격으로 2.4배나 차이 나는데 요즘은 무라벨이 대세이니 디자인이 다른 것도 아니니 이 차이는 물값인지 브랜드 값인지...

브랜드 순창샘물 올스탠다드 탐사수 아이시스 마신다
가격
(원/2L-1병)
            825           1,280             541             720             570

 

이리 보면 가격이 생수 선택기준의 최우선인 우리 소비자들은 참으로 현명하지 않은가. 

 

먹는샘물 제조업체, 수입판매업체, 유통전문판매업체 현황('23.11.22.).xlsx
0.09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