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탄소중립(Net Zero)/에너지 전환

탄소중립 여정에서 원자력의 역할 (탄소중립 재밌게 풀어보기)

by 수줍은 공돌이 2023. 11. 2.
728x90
반응형

세계 각국 공통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 전략은 에너지 공급원을 기존 탄소 배출이 많은 화석연료에서 탄소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이 필수적이고 핵심이다.

그러나 재생에너지는 간헐성과 이를 보완하려는 과정에 있어 추가되는 비용 문제 등으로 전력 공급의 안정성과 경제성을 해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간헐성은 재생에너지가 날씨나 계절 등 자연환경의 변화에 따라 발전량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태양광은 낮에만 발전할 수 있으며, 풍력은 바람이 불 때만 발전할 수 있다. 이러한 간헐성은 전력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깨뜨리고, 전력망의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에너지를 대규모로 확대하려면 전력 저장장치나 수요관리 시스템 등의 보조 기술이 필요하고 결국 재생에너지 생산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

 

이러한 비용 문제로 재생에너지 도입 및 확대 단계에서 미국의 IRA처럼 국가단위의 세재 해택이나 인센티브가 뒤따라야 하는 것이며, 요 며칠 동안 발표된 한화솔루션의 3분기 영업이익 전부 및 LG에너지솔루션의 3분기 최대 영업이익 달성이 미국 IRA의 세액 공제 덕임을 보아 소위 선진국들이 얼마나 탄소중립 여정에 진심인지를 알 수 있다. 

 

무탄소 전력원 원자력 발전

이러한 재생에너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자력발전의 역할이 다시 조명받고 있다. 원자력발전은 탄소를 직접적으로 배출하지 않는 무탄소 전력원으로, 재생에너지의 부족이나 변동성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원자력발전은 전력 생산시 탄소 배출은 없고 생애 주기 전체를 보더라도 생산 전력 1kW 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12g으로, 태양광 (48g), 풍력 (11g)과 비슷하고, 석탄 (820g), 천연가스 (490g) 보다 훨씬 낮다.
게다가 원자력발전은 대규모 전력 생산이 가능하고, 간헐성이 없어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원자력발전은  한 번에 많은 양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으며, 연료로 사용하는 우라늄은 보관과 운송이 용이하고,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원자력발전은 수요와 무관하게 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이 변동하는 경우에도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전력 수요가 적은 시간대에 남는 전력으로 수소를 생산, 저장해 두는 방향으로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여 탄소중립으로 여정에 스스로의 역할을 넓힐 수 있는 것이다.

 

원출처: 서울경제

원자력의 한계와 문제점 

그럼에도 불구, 원자력에는 분명한 한계와 문제점이 있다. 사용 과정 혹은 사용 후 발생하는 그리고, 최종 원전 해체 시 발생하는 방사능 오염 폐기물 처리는 이미 잘 알려진 문제로 원자력 발전 건설에 사회적 합의가 우선해야 한다 큰 한계점이 있고, 이제 채 30년이 남지 않은 탄소중립의로의 급한 여정에 있어 계획에서 건설까지 10여 년이 걸린다는 시간문제 또한 우리가 간과할 수 없는 고려하여야 할 문제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치적, 사회적으로는 정부와 산업계 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 전체가 모여 소통하고 협력하여, 원자력과 재생에너지의 대립이 아닌 상호 보완과 적절한 조화로 탄소중립과 에너지 안보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정책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최근 이러한 안전성 및 공기의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해 보고자 현대건설, 삼성물산 등 국내 건설사들도 참여하는 SMR(소형모듈원자로) 등이 연구 및 건설되고 있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에선 삼성중공업, 한국수력원자력, 시보그(덴마크) 공동으로 바다 위에 띄울 용융염 원자로(CMSR) 기반 부유식 원자력 발전 설비를 개발하고 있다 하니 지켜볼 일이다.  

by DAL.E, 부유식 원자력 발전, 소형이라기엔 좀 큰 Reactor 인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