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배우에 대한 ‘마약 투약’ 혐의 내사 어제오늘 들리는 뉴스이다. 얼마전엔 마약 투약 후 추락한 경찰, 이곳 저곳에서 퍼진 마약에 대한 얘기 기후변화와 엮어 어떻게 풀어가 볼까 고민스럽다.
마약은 보통 숨어서 은밀히 하는 관계로 날씨가 따뜻해지니 저녁에 편의점 앞에서 친구 혹은 홀로 마셔대는 맥주처럼 늘어났다 얘기를 할 수도 없을 것인데 말이다.
그런데 이런 조사를 누가 이미 했더라구.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 온난화가 알코올과 마약을 부른다.
“상승하는 지구 기온은 예상치 못한 건강 위기를 촉발할 수 있다. 알코올 및 약물 관련 질환으로 인한 병원 방문이 늘어날 수 있다. 미국 콜롬비아 대학 메일만 공중보건대학 연구원들은 최근 기온 상승과 알코올 및 마약 사용 증가가 연관이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이번 연구는 기온 상승과 이에 따른 병원 방문 증가 사이의 관계에 대한 포괄적인 결과를 제공하는 최초의 연구다”
연구팀은 지난 20년 동안 뉴욕주에서 67만 1625건 이상의 알코올 관련 병원 입원과 72만 1469건의 약물 관련 병원 입원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 데이터와 함께 일일 온도 및 습도 수준을 조사했다. 여기에서 나타난 중요한 사실 중 하나는 기온 상승과 알코올 관련 병원 입원 증가 사이의 상관관계였다.
“기온이 높은 기간 동안 알코올 및 약물 사용과 관련된 병원 방문도 그에 상응하여 증가했다. 분명하지는 않지만 기후변화에 따른 잠재적 결과라고 볼 수 있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우리의 연구 결과는 기후 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이 알코올 및 기타 약물 복용으로 이어져 병원 방문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라고 요약했다. 그들은 “이에 따라 관련 당국의 적절한 사회적, 의료적인 개입이 필요하며, 이로 인한 경제적 부담도 늘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단지 기온 상승과 알코올 마약 복용 간 인가 관계가 아닌 상관관계만을 살펴본 것인데 개인적으론 어떤 연유로 라는 인과 관계 분석이 없었던 점이 많이 아쉽 다라 생각이 든다.
정말 그냥 거리에서 따 먹은 캔 맥주처럼 마약도 기온이 오르면 그냥 당기는 것일까?
그냥 그리 정리하는 것은 아쉬워 도움청한 Chat GPT는 아래와 같은 가능성을 제시한다.
1. 계절적 영향
따뜻한 날씨에는 사람들이 외부 활동을 늘리며 더 많은 사회적 모임이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기에 이런 모임에서 마약 복용의 유혹이 증가할 수 있다.
2. 심리적 영향
보통 사람들은 따뜻한 날씨에 더욱 쾌적함을 느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마약과 같은 심리 활성화 물질을 찾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3. 계절적 우울증
일부 사람들은 계절적 우울증이나 불안장애와 같은 정신 건강 문제가 계절에 따라 변화할 수 있고 따뜻한 날씨에 증상이 악화될 수 있기에 마약 복용이 증가할 수 있다.
4. 축제와 이벤트
따뜻한 계절에는 축제, 공연 및 다양한 이벤트가 더 많이 열릴 수 있으며, 이러한 장소에서 마약의 유통 및 이용이 증가할 수 있다.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한가? 난 1, 4번 정도는 각론을 떠나 어느 정도 그럴 수 있겠구나 생각이 드는데.
대마는 대기에서 나무보다 두 배 효율적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합니다.
기후변화와 마약과의 연관 두 번째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한다.
사실 요즘 서구에서 대마를 합법화하고 있어 그냥 우리 일상과 격리해야 할 마약으로 구분하기엔 좀 그렇긴 하지만 그건 거기구 우린 우리니…
미 뉴욕주 한 대학의 연구팀은 대마초가 기후 변화에 대한 인류의 투쟁에서 실종된 플레이어일 수 있다고 말한다. 왜? 대마는 대기에서 나무보다 두 배 이상 효율적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때문.
연구원들의 연구에 따르면 나무는 통상 연간 2톤의 CO2를 흡수하는데 반해 대마는 16톤을 흡수한다 하니 그냥 실종된 플레이어가 아닌 감춰둔 비밀 병기라 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이리 흡수된 이산화탄소(CO2)는 대마를 키워 섬유, 건축자재 및 의약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어 유럽에선 산업용 대마 농장이 만들어지고 있다 하니 다재다능한 멀티 플레이어가 아닐 수 없고 그래 어떤 것도 다른 한쪽을 보게 되면 내게 고정된 것과 상반된 다른 면을 볼 수 있을 거야.
'탄소중립(Net Zero) > 기후 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멸치 대신 정어리 액젓 담금다. (49) | 2023.11.03 |
---|---|
탄소중립 재밌게 풀어보기 (백남준 "기계문명과 자연의 공존") (83) | 2023.10.28 |
탄소중립 재밌게 풀어보기 (기후변화, 모기, 이산화탄소) (52) | 2023.10.20 |
탄소중립 재밌게 풀어보기 (바람과 지구온난화) (55) | 2023.10.20 |
비와 탄소중립, 기후 변화 (29) | 2023.10.19 |